오늘(11/4)은 음력 10월 2일이며 나의 반려자 소피아의 62번째 생일이다. 지방으로 2박 3일정도 여행을 할려고 했으나
우리 두 사람 모두 다른 일정이 있어서 당일치기 여행을 하기로 했다.
10월 9일 고교 반창회를 수원화성(水原華城)에서 했을때 소피아와 함께 다시 와 보야하겠다고 마음을 먹었었다.오늘 소피
아에게 수원화성으로 가자고 제의하니 좋다고 한다.
수원화성은 1789년(정조 13) 정조가 아버지 장헌세자(사도세자)의 능을 양주 배봉산에서 최고의 명당이라는 수원 화산
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을 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조는 1793년에는 수원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시키고, 화성행궁을 건립하였다. 관아를 겸해 쓰다가 1795년 윤 2월 어
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에 맞춰 대폭 증축했다. 1796년 완성된 궁의 규모는 정전인 봉수당(奉壽堂),침전인 장락당,활을
쏘던 득중정(得中亭)을 비롯해 무고(武庫)·수성고(修城庫)·집사청(執事廳) 등 576칸에 이르렀다.
정조대왕은 이곳에서 특별과거시험을 열어 지방 인재들에게 기회를 주고,어려운 백성들에게 직접 쌀을 나눠주는 등 선정을
배풀었다고 한다.
한편 수원화성은 1794년 1월에 착공하여 2년 9개월 후인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성의 둘레가 5.7km에 달하며
성의 시설물이 48개소가 있었는데 현재 41개소만 복원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연무대관광안내소 주차장에 차를 두고 창룡문에서 출발하여 동북노대-동북공심돈- 연무대-동암문-동북포루- 북
암문-방화수류정-화홍문-북동포루-장안문- 북서포루- 북포루-화서문- 서일치- 서노대- 서장대-효원의 종-성신사- 화성
행궁 -여민각을 걸어서 돌아보았다.
그리고 택시를 타고 연무대주차장으로 오서 차를 몰아 집으로 왔다. 소피아의 생일축하를 제대로 해 주어야 했는데 ........
소피아 생일 축하합니다.
< 창룡문 >
< 화성과 화성행궁 안내도 >
< 화성의 건설 실면제를 실시했나봐요 ...창룡문 성벽에 세겨진 공사참여자 명단 >
<성벽 외곽에서 본 창룡문 >
< 성곽 안쪽으로 난 길을 걸으며.... 화성을 감상해 보면...... >
<동북노대(東北弩臺) ....노대는 성가운데서 다연발 활인 쇠뇌를 쏘기 위해서 높게 지은 시설 >
<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 공심돈은 성곽주위와비상시에 적의동향을 살피기위한 망루 >
< 연무대 >
< 북암문(北暗門) ...... 암문은 성곽의 깊숙하고후미진 곳에적이 알지 못하도록 만든 출입구 >
< 동북포루가 보이는 억새밭을 배경으로 인증샷을 한 소피아 >
< 북암문(北暗門)을 나와서 바라본 방화수류정 >
< 방화수류정 앞에서 걸어나오는 소피아 >
< 화홍문..... 수원천의 수문 >
< 걸오온 길을 되돌아 보니 방화수류정과 동북포루가 어우러져 멋있는 풍광을 연출하네.... >
< 북동적대 (北東敵臺)... 적대는 성문응 공격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성문좌우옆에 있는 치성위에 세운 시설 >
< 장안문(長安門)>
< 포루(砲樓)의 지붕에 비둘기가 지붕의 운치를 더하네 ....... >
< 성벽에 세운 팔랑개비 >
< 공사중인 화서문(華西門 >
< 화서문 >
< 온길을 뒤돌아 보니....성벽을 따라 화서문,장안문이 보이네...>
< 서이치(西二雉).... 일정한 거리마다 성곽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시설 >
< 성벽을 따라 서장대로 오르는 계단 >
< 서노대(西弩臺)....성가운데서 다연발 활인 쇠뇌를 쏘기 위해서 높게 지은 시설 >
< 팔달산 정상에 있는 화성장대(서장대) >
< 서장대에서 바라 본 화성 행궁 >
< 효원의 종 .... 하루에 2번 오전 10시와 오후 6시 타종 >
< 세계문화유산 화성 .... 서양인,중국,일본등 외국관광객도 많이 오네........>
< 효원의종에서 바라본 서남각루방향 >
< 효원의 종방향에서 바라본 서장대 >
< 서장대에서 행궁으로 내려오는 계단길 >
<성신사(城神祠) ...화성 성신을 모신 사당 >
< 행궁입구 .... 신풍루 >
< 600년 이상된 느티나무 .... 소원지에 소원을 종이 적어 새끼줄에 끼워보라네요 >
< 봉수당(奉壽堂) : 화성행궁의 정당으로 정조대왕은 이곳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었음 >
< 화령전의 운한각(雲漢閣) ... 정조대왕의 영전(影殿)을 모신 곳 >
< 정조대왕의 영전(影殿) >
< 제정(祭井)...화령전의 제례에 사용될 정화수를 뜨는 우물로 어정(御井)이라고도 함 >
< 후방윗쪽에서 바라 본 행궁 >
< 궁녀는 직급에 따라 옷을 다르게 입었음.... 대장금에서 장금이의 옷 ... 왼쪽으로 갈 수록 높은 직위의 옷 >
< 유여택(維與宅) : 평상시에는 화성유수가 거처하는곳으로 쓰이다가 임금이 행차하면 잠시 머물며 신하를 접견하는 곳 으로 이용되던 곳 >
< TV 연속극 "대장금"의 주인공과 함께한 소피아 >
< 행궁광장에서 열린 국화전시회 >
< 여민각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늦가을에 찾은 문경새재 (0) | 2013.11.18 |
---|---|
행복한 도보여행을 한 대이작도 (0) | 2013.11.10 |
사랑의 무대 "광한루" (0) | 2013.11.02 |
사진촬영연습여행 - 3 : 내설악 백담사의 단풍나들이 (0) | 2013.10.17 |
사진촬영연습여행 - 2 : 방태산의 이단폭포 (0) | 201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