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사는 신라 경문왕 10년(870)때 두운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를 정벌하러 내려가다 이 사찰을 찾았으나 운무가 자욱하여 지척을 분간치 못했는데, 어디선가 청룡 두 마리가 나타나 길을 인도하였다 하여 용문사라 불렀다고 합니다.
임진왜란때 승병들의 지휘소로 이용되었던 자운루가 아직도 남아있어 호국불교의 기풍을 후손들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윤장대(보물 684호)를 비롯 성보문화재 10여점이 현존하며, 조선 숙종 때 조성된 목각 탱화(보물 89호)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특히,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한 윤장대를 돌리면 번뇌가 소멸되고 공덕이 쌓여 소원이 성취된다고 하여 예로부터 참배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 회전문...4명의 천왕상 >

< 해운루 >

< 보광명전 >


<보광명전 삼존불.... 지권인을 결한 본존인 진리의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서방 극락정토의 주존불인 아미타불(阿彌陀佛)과 동방유리광세계의 주존불인 약사불(藥師佛) >


< 범종각 >

< 자운루와 해운루 >

< 사찰 전경 >

< 대장전....경전을 봉인하는 전각 >

< 대장전 중앙에 안치된 불상 >

< 대장전 좌우에 안치된 윤장대(보물제 684호) >

< 응진전 ... 16나한상을 모신 전각) >
< 진영당 >

< 장독대 >

< 사찰 공양건물에서 본 전경 >

< 천불당 >



< 산신각 >


<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각 > 
< 보시를 하면 다른 사람을 도와준다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