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궁나들이 - 1 : 경복궁
오늘(5/6)은 어린이날의 대채공휴일이다. 아침에 일어나니 하늘이 맑고 미세먼지도 보통이상이라 몇년동안 벼루고
있던 고궁나들이를 시작하였다. 사실 나는 친구들과 고궁을 거의 다 가 보았지만 소피아는 덕수궁밖에 가본 기억이
없다고 한다.
올해중으로 조선시대 5궁인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경희궁을 둘러보려고 한다. 고궁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우선 고궁박물관을 관람하였다.
그리고 찾아간 곳이 경복궁이다. 광화문으로 들어가 오른쪽에 있는 입장권매표소에서 줄을 한참 선 끝에 입장권을
손에 쥐었다. 우리부부는 나이가 65세를 넘어 무료로 입장권을 받았다.
경복궁은 이성계가 왕이되어 조선을 건국하고 즉위 3년째인 1394년에 신도궁궐조성도감을 열어 궁의 창건을 시작
하여 이듬해에 완성하였다.
그러나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다. 270여년동안 복구되지 못하다가 고종4년(1867년)흥선대원
군의 주도로 중건되었다. 당시 경복궁에는 왕과 관리들이 업무를 보던 외전과 월내각사들,왕과 왕비 및 궁인들의 생
활을 위한 전각들,휴식을 위한 정원 등 500여동의 건물들이 조성되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때 일본에 의해 의도적으로 훼손되어 전체의 90%의 전걱이 헐렸다. 1990년대부터 복원사업을 추진하여
옛조선총독부건물을 철거하고 경복궁의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하고 있다고 한다.
경복궁을 관람하고 세종로을 걸으며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의 동상을 둘러 보았다.
< 국립고궁박물관 >
< 순종황제 어차 >
< 궁중서화실을 관람하며.... >
< 왕실의례실을 둘러보며.... >
< 가마 ...조선시대 가장 높은 위엄을 보여주는 가마 >
< 왕실제례상의 진설내용을 관람하는 소피아 >
< 자격루 ...세종때 처음 제작된 물시계...종과 북,징소리 >
< 궁의 천장문양 >
< 순종의 초상화 >
< 태조이성계의 초상화 >
<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 >
< 흥례문...일제 조선총독부건물을 지면서 철거된뒤 85년만인 2001년 복원 >
< 근정문 ...조선태조4년에 지어진 건물은 임진왜란때 소실되었고, 고종때 재건축 >
< 근정문 계단중앙에 있는 문양 >
< 근정전 ...임진왜란때 전소되었으나 고종4년(1867)에 중건함 >
* 경복궁의 정전....왕의 즉위식이나 문무백관의 조회,과거 및 외교사절의 접견등 국가의 공식행사를 치르던 곳 >
< 소피아에게 정3품 벼슬을 내렸다며 찰칵 >
< 나의 벼슬은 정일품이라며 찍어준 소피아 >
< 근정전 계단에 세겨진 문양과 석물 >
< 근정전 임금 좌석 >
< 근정전 천장 문양 >
< 사정전 ...왕의 집무실인 편전 ...고종4년에 중건 >
< 사정전 내부 >
* 신하가 매일 왕을 배알하던 약식 조회인 상참을 비롯하여 경연,윤대등 일상적인 국정운영이 이루어진 곳
< 천추전 >
< 천추전내부 ...신하들이 대기하던 곳 >
< 만춘전 >
< 만춘전 내부 >
< 강녕전 ...왕의 일상생활공간 ...1995년에 복원 >
<교태전 ...왕비의 침전 ...1995년에 복원 >
< 태교전 내부 >
< 국립민속박물관 >
< 건청궁 ....왕의 처소인 장인당,왕비의 처소인 곤령합.옥호루로 조성...2007년복원 >
< 왕의 처소인 장인당 >
< 해당화 >
<왕비의 처소인 곤녕합 >
< 보수중인 향원정 >
< 궁내 도서관으로 사용중인 집옥재 >
< 건청궁 전경 >
< 태원전 ....왕과 왕비의 빈소....2005년 복원 >
< 태원전 >
< 경회루 ... 고종4년에 중건 >
* 왕이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사신을 접대하던 곳 >
< 경회루에서 소피아 인증샷 >
< 수정전 ....궐내각사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 >
< 세종대왕 동상 >
< 한글 전시관 >
< 이순신장군 동상 >
< 대한민국 서당문화한마당축제 >